강옥 [鋼玉, corundum]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육방정계(六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코런덤이라고도 한다.
성분은 Al2O3이다. 천연산 산화알루미늄으로 6각 판상(板狀) 또는 주상(柱狀), 때로는 육각뿔 모양의 결정계이지만, 입상(粒狀)일 때도 많다. 쪼개짐은 분명하지 않으며, 비교적 완전한 열개(裂開)가 있다.
굳기는 9이며, 비중은 3.9∼4.1로 약간 무겁다. 빛깔은 무색(백사파이어)·청색(사파이어)·홍색(루비)·녹색(오리엔탈 에메랄드)·보라색(오리엔탈 아메지스트)·황색(오리엔탈 토파즈) 등으로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회색·암회색·청회색·회자색(灰紫色) 등을 띤다. 투명 또는 반투명이고, 유리광택을 가지며, 밑면은 때로 진주광택이 난다. 조흔색(條痕色)은 백색이며, 산(酸)에 녹지 않는다.
특히 루비와 사파이어는 옛날부터 귀금속으로 애용되었다.
자철석 ·적철석·스피넬 등과 조밀하게 섞인 흑색 강옥은 에머리(emery)라 하여 연마재로 쓰여 왔으나, 오늘날은 인조 코런덤이 이용된다. 입상 석회암· 혼펠스(hornfels)·편마암·결정편암 등의 변성암, 감람암·반려암 등의 염기성 심성암, 현무암 등의 염기성 화산암 속에서 산출되고, 또 기성작용(氣成作用)을 받은 화강암 페그마타이트 속에 있는 홍주석에 포유(包有)되어 산출한다.
또한 이들 암석의 풍화로 인해 사광상(砂鑛床)을 이루기도 한다. 널리 분포하는데, 우랄지방·미얀마·인도·스리랑카 등에서 양질의 것이 산출된다.
인공합성의 경우 베르누이법을 이용하면 합성할 수 있으며, 주로 합성보석·정밀기계 등에 이용된다. 이 밖에 열수합성법·융제법 등으로도 합성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