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억 진주시장을 잡아라
체계적 홍보와 시장조사로 진주시장확대 노력 필요
1. 국내
보석시장에서 다이아몬드와 함께 독보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진주는 다른 보석과는 달리 거의 전적으로 여성들에 의해 소비되는 독특한 소비시장규모를 가지고 있다. 여성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구입하는 화장품 시장이 년간 약 1조 5천억에서 2조원 정도로 추정될 정도로 거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비하면 국내진주시장은 그 100분의 1수준이다.
하지만 여성들이 가장 가지고 싶어 하는 보석중의 하나가 진주이고 몇 만원에서 수십만원짜리 화장품에 여성들이 투자하는 금액을 생각 한다면 진주시장이야말로 앞으로 적절한 마케팅과 광고가 이어진다면 현재보다는 몇 배 이상의 시장이 될 것임은 틀림이 없다.
국내 진주시장 규모는?
지금까지 한 번도 발표된 바 없는 국내 진주시장의 규모를 추정해보자.
수입되는 보석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다이아몬드의 경우는 년간 수 천억원대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 진주의 경우는 아코야진주, 담수진주, 남양진주, 흑진주등을 포함해 약150억 원 정도의 진주가 매년 수입되고 있는 정도다. 지난 5년간의 수입액을 보면 98년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150억 원 어치 이상이 수입됐으며 96년도에는 220억원어치의 진주가 수입되기도 했다. 이러한 진주의 시장규모는 귀금속업계 전체의 시장으로 볼때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것이 제품화 되어지면 그 값어치는 몇 배로 뛰며,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는 많게는 수십배까지 그 값어치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제품화된 진주의 시장규모는 과연 얼마나 되는가. 다이아몬드 제품의 경우는 한 제품에서 다이아몬드가 가지는 비중을 약 60%정도로 본다.
하지만 진주제품의 경우는 일부 남양진주를 제외하고는 정작 진주가격보다는 금이나 큐빅 등 그 옷을 입히는데 비용이 더 들어간다.
그래서 진주제품은 전체 가격에서 최소 약 30%~40%정도를 진주가격으로 책정하는데 약 150억원어치 수입된 진주중 40%를 거의 꾸미지 않는 비드(목걸이)용으로 판매된다고 치고 그 나머지인 60%, 90억원어치의 진주를 제품화 한다고 환산하면 우리나라의 진주제품 시장규모는 도매가격으로 최소 약 300억원(비드제외) 규모에 달한다고 추정 할 수 있다.
진주시장확대를 위한 시장조사와 체계적 홍보 필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진주에 대한 대 소비자홍보나 시장조사가 이루어 진적은 한 번도 없다.
대부분의 진주가 일반 소매상에서 그냥 보석의 한 종류로 판매되고 있는 것이 전부인데, 이러한 상황에서 진주의 시장규모는 진주업계의 노력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더 확대될 수 있다. 드비어스가 다이아몬드를 홍보했듯이 우선 진주에 대한 소비자 기호나 진주별 선호도, 구매의욕과 같은 시장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주얼리 신문 2001.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