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d 2007. 5. 9. 00:26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그동안 감정원에 특기할 만한 감별의뢰건 중 유핵의 담수진주가 있어 이번 호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1. 담수 유핵진주


사진 1의 진주가 의뢰된 진주들이다. 두번째진주와 세번째진주는 컬러 및 기타방법으로도 쉽게 감별할 수 있었지만 첫번째 진주는 외관상으로 10.53mm의 화이트(그린의 간섭색)계 남양진주처럼 보였다.

 

그러나 남양진주에서는 보기 힘든 금속광택을 갖고 있었으며 몇가지 의문이 가는 부분이 있어 먼저 미량원소분석기로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

미량원소분석기에서는 Mn(망간)성분이 많이 검출되었다. 보기드문 완벽한 원형의 담수진주이었기에 또다른 감별기기인 연 X선으로 촬영을 하기로 하였다.(사진2)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2

 

진주층의 두께는0.9mm정도였다. 놀라운 일이었다. 중국에서 유핵의 담수진주가 출시될 것이라는 사실은 소문으로 들어 알고 있었으나 이렇게 빠르게 유입될지는 몰랐었다.

물론 이러한 진주는 아직까지는 보편적이지는 않지만 무핵의 담수진주와는 전혀 다른 느낌의 진주이었다. 그 후 지인의 도움으로 어렵게 구한 유핵의 담수진주를 공개하고자 한다.(사진 3) 사진3의 진주들은 마치 외관으로는 남양진주에서나 볼 수 있는 컬러를 갖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3  유핵 담수진주(상:10.0~11.0mm 하:11.0~12.0mm)

 

그러나 모두가 유핵진주이며 담수진주이었다. 물론 형태면에서는 세미라운드가 대부분이었다. 중국에서 생산된 유핵의 담수진주는 2가지이상의 경우로 양식되고 있다.


첫번째는 외투막세포에 핵과 피스(외투막세포 한조각)를 넣는 방법이 있고, 두번째는 생식소에 핵과 피스를 넣는 방법이 있다.그외 양식자의 노하우에 의하여 또다른 방법으로도 양식될 수 있다.


이번에 구입한 유핵의 담수진주가 위의 어떤 방법으로 양식되어진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첫번째의 경우로 생산되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아직은 대중화된 상품으로서 진주를 유통시키기에는 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지만 가까운 시일, 아마도 2~3년안에는 이러한 유핵의 담수진주가 유통될 것임에 틀림이 없다.


현재까지 유핵의 담수진주는 일본에서 양식되었고 그 수량은 극히 소량에 국한되었다.

일본의 유핵담수진주는 생식소에 핵과 피스를 넣어 만들고 있다. 이러한 핵시술은 매우 고난이도의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고,진주를 코렉션하는 사람들에게만 선택의 기회가 돌아갔던 것이 현실정이었다.


사진3의 진주를 감별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써치라이트법 검사를 행해보면 모든 진주가 다 그렇지는 않지만 핵을 삽입함으로써 생기는 유기물이 보이는 것이 많았다. 이러한 유기물은 유핵양식진주를 감별하는 포인트가 되기도 한다.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4  유핵담수진주(유기물의 흔적). 얼룩처럼 보이는 것이 유기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5  유핵담수진주(유기물의 흔적). 얼룩처럼 보이는 것이 유기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6  유핵담수진주(유기물의 흔적). 얼룩처럼 보이는 것이 유기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7  유핵담수진주(유기물의 흔적). 얼룩처럼 보이는 것이 유기물

 

핵을 삽입하면(아코야진주,담수유핵진주,기타 해수산 진주 포함) 진주층이 쌓이기전 유기물이 쌓인다


과거에는 담수진주(무핵)와 유핵의 해수진주를 감별하는 방법 중 연X선이 결정적인 감별포인트가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몇 년안에 유핵의 담수진주가 상품화되어 일반적으로 유통이 된다면 연X선 검사만으로는 사실상 담수진주(유핵)와 해수진주(아코야진주,남양진주)의 구별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담수와 해수 성분을 비교하는 감별기기인 미량원소분석기가 없어서는 안될 것이다. 미량원소분석기란 EDXRF(에너지 분산형 X-선 형광검사)인데 비파괴검사로 보석감별에 사용되는 최첨단 분석기기이다(사진 8).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8  EDXRF




EDXRF로 남양진주와 담수진주(사진 9)의 미량원소성분검사를 해보면 햇수산과 담수산 모두 Ca원소가 주된 원소지만 해수산에는Sr(스트론티움)이 많이 존재하고 있고 담수산에는 Mn(망간)성분과 Sr성분이 소량 들어있다. 담수산에서도 Sr성분이 있으나 해수산에는 담수산에 비해 량이 많이 들어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9

 


 

이러한 검사는 EDXRF로 정량분석을 하면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남양진주(해수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담수진주(유핵, 담수)


이러한 정량분석은 진주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원래 기계가 갖고 있는 기본 데이터 베이스에 의해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 분석하면 된다.





코리아진주감정원 원장

日진주과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