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 전복, 전복 분말, 전복가공 등

1904년 울릉도에서 말린전복 수출

maind 2008. 7. 7. 21:07

 

1904년 울릉도에서 건전복 수출

 

 

 

전복꼬치(꼬치에 꽂아 말린 전복)

[사가현립 (滋賀県立) 비와코박물관(琵琶湖博物館) 소장]

 

 

 

 

 

1907년 시마네현 다케시마(竹島) 조사단의 오쿠하라 헤키운(奧原碧雲)이 쓴 '죽도 및 울릉도'에 따르면 울릉도에 살던 한국인들이 1904년과 1905년에 독도에서 강치를 잡아 매년 가죽 800관씩 일본에 수출한 사실이 나온다. 강치 가죽 800관은 약 286마리분에 해당된다.

 

오랜기간 보관 하기 힘든 수산물을 자연건조하였으며 말린 전복에서도 타우린을 함유하고 있다.

 

중국 진나라의 진시황이 불로장생에 좋다고 하여 널리 구한 것 중에 전복이 포함되어 있었고, 서복이란 사람이 제주도의 전복을 진상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만큼 전복은 영양가가 높고 귀한 식품으로 평가되어 왔다. 특히나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에서도 생산됐음에도 우리나라 전복은 그 중에서도 제일로 여겨졌다.

 

전복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건강 성분은 타우린(아미노산의 일종)이다.

이는 전복을 쪄서 말렸을 때 표면에 생기는 흰가루 성분이다.

 

정약전은 자산어보에서 전복을 복어라는 이름으로 소개하면서 '살고기는 맛이 달아서 날로 먹어도 좋고 익혀 먹어도 좋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말려서 포를 만들어 먹는 것이다.

 

타우린(Taurine)

 

- 콜산[cholic] [화학]

동물의 담즙 속에 있는 산. 지방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 데히드로콜산[dehydrocholic] [약학] 강력한 담즙 분비 촉진제.

 

수산물을 말리게 되면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타우린이 석출되게 되는데, 이것이 우리 눈에 보이는 하얀 가루의 정체이다.

 

타우린이라는 성분은 우리가 즐겨 마시는 박카스에도 들어있다. 이는 근세포가 수분을 다량 끌어들이도록 함으로써 세포크기를 확장하는 효과가 있으며 근육, 뇌, 지방대사 등에도 관여한다.

 

특히 심장근육을 비롯한 근력 추축력을 향상시키고 근력 및 근지구력을 강화시키는 효능은 대부분의 에너지 음료들이 이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이유기도 하다.

 

타우린은 뇌에 들어 있는 아미노산 중 농도가 가장 높으며 신경이 지속적으로 흥분될 때 과도한 신경 흥분을 억제하는 신경안정 효과도 있다.

 

<함유식품>

전복, 문어, 오징어, 고등어, 참치, 도미, 새우, 게, 소라, 바지락, 굴 등

 

<효능>

-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 혈압 강하

- 항 동맥 경화

- 항 혈전

- 항 경련

- 시각 능력 향상

- 두뇌 및 생식 발달

- 심장 근육 수축 작용

 

<특징1>

모유에 타우린이 많이 함유되어있다.

우유에는 매우 적은 양이 함유되어져 있으므로 조제 분유에 타우린을 첨가토록 권장하고 있다.

 

<특징2>

타우린은 식물성 식품에는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엄격한 채식주의자는 결핍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현재 진도에서는 전통방법으로 말린전복을 만드는 곳이 있다.

해외에서 만든 건전복이아닌 우리나라에서만든 명품 건전복에 귀추가 주목되며 하루 빨리 상품화가 되었으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