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오징어 김치-보는 것만으로 입안에 침이 고인다. 막걸리나 소주 안주로 |
멍게 배추김치, 오징어김치, 문어 마 물김치, 전복 수삼 물김치, 홍어 매실 김치 등등… 김치이름이 생소하다. 비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어떤 맛일까에 대한 호기심이 앞서면서 입안에 침이 가득 고인다.
지금은 어떤지 모르지만 불과 4~50년 전에만 해도 지역마다 김장에 다양한 생선을 넣었다. 물론 살림살이의 형편에 따라 넣은 생선은 달랐을 것이다.
1960년대 초 필자의 집에서는 김장에 갈치를 넣었는데, 잘 삭은 김치의 감칠맛과 곰삭아 쫀득쫀득한 갈치의 새콤한 맛은 가히 환상적이었다. 지금도 그 맛을 잊을 수가 없다.
 |
소라 김치 - 보기에도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 |
김치에 수산물이나 생선이 들어가면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뛰어나다고 한다. 미네랄이나 오메가3같은 영양소와 단백질이 풍부한 뛰어난 영양식이다. 겨울철 영양섭취를 위한 조상의 지혜에 그저 놀랍기만 하다.
지난 6월 17일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임광수) 식품안전연구단은 올 전반기에 연구 개발된 수산물김치에 대한 품평회를 가졌다. 그동안 수산과학원이 연구개발한 수산물김치 34종에 대한 레시피(조리법)는 화보상태로 공개하고 그중 13종에 대하여는 시식을 통한 품질평가로 참가단의 관심을 끌었다.
 |
게 김치-왼쪽이 대개 김치 오른쪽이 꽃게 김치다. 취향에 따라... |
수산물김치는 규합총서(閨閤叢書)에-1809년(순조 9) 빙허각(憑虛閣) 이씨(李氏)가 부녀자를 위하여 엮은 일종의 여성생활백과-어침채(魚沈菜), 어딤채 등으로 기술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식품이다. 그동안 제조방법이 특정 가문의 내부에서만 제한적으로 명맥만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
멸치 김치- 잘 삭은 김치와 함께 쫀득쪽득해진 멸치...다른 반찬이 필요없다. |
이번에 선보인 수산물김치는 전복, 낙지, 홍어 등 고급 수산물이 20~30%나 함유되어 있어 젓갈이 3%정도 함유된 일반김치에 비해 맛이 월등하게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양질의 단백질과 수용성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식품영양학적으로도 균형이 잡혀있다.
옛날과 달리 저장시설이 좋아 앞으로 풍부한 영양 가득한 전통 김치의 맛을 언제나 볼 수 있게 됐다.
장병영 칼럼니스트(민족혼되찾기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