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조릿대/화본과. 잎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너비 15mm - 20mm이고 다소 털이 있다.
제주조릿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조릿대.
학명 - Sasa quelpaertensis
분류 - 화본과
분포지역 - 제주
크기 - 높이 10∼80cm, 지름 3∼4mm
높이 10∼80cm, 지름 3∼4mm이다. 털이 없고 마디가 도드라지고 마디 주위가 다소 자주색이다. 잎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나비 15∼20mm이고 표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고, 뒷면에 다소 털이 있다. 잎집에는 어깨털이 없거나 몇 개의 곧은 것이 있다.
꽃은 6∼7년마다 피고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영과(穎果)는 밀알처럼 생기고 껍질이 두꺼우나 녹말 자원으로 먹을 수 있다.
조릿대와 비슷하지만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마디가 공처럼 둥글며 원대에 털이 없다.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에 분포한다.
대나무의 분류
전세계에 400여 종류가 분포하며 한국에는 왕대속 ·해장죽속 ·조릿대속 ·이대속의 4속이 있다.
⑴ 왕대속(Phyllostachys) : 잎집이 일찍 떨어지며 수술은 3개이고 높이 10~30m, 지름 3~20cm로서 줄기가 대형이며 눈은 각 마디에 2개씩 난다. 세계적으로 40여 종이 있는데 주로 중국과 인도에 많이 분포하고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에도 있으며, 한국에는 중부 이남에서 죽순대 ·오죽 ·솜대 ·반죽 ·관암죽 ·왕대의 6종류가 자란다. 죽순대(P. pubescen)는 높이 10~20m, 지름 20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녹색으로 털이 있으나 황록색으로 된다. 중국 원산이고 죽순은 식용한다.
오죽(P. nigra)은 줄기가 처음에는 녹색이나 다음해부터 검기 시작하여 완전히 흑색이 되고 높이 3~20m, 지름 2~5cm로서 곧게 자란다. 꽃은 6~7월에 피고 수상꽃차례로 길이 2.5~3cm의 타원형이고 자록색이다. 약 60년 주기로 개화, 결실한 후 죽는다. 우산 ·부채 ·책상 ·서가 등의 죽세공재로 많이 이용한다. 중국 원산이다.
솜대(P. nigra var. henonis)는 오죽의 변종으로 줄기는 높이 10m 이상, 지름 5~8 cm이며 처음은 흰분으로 덮였다가 황록색으로 된다. 약 60년 주기로 개화, 결실 후 죽는다. 적갈색의 연한 죽순은 식용하고 죽력(竹瀝)은 약용으로 이용되며 큰 줄기는 건축과 죽세공재로 쓴다. 중국 원산이다.
반죽(P. nigra for. punctata)은 오죽의 품종으로 줄기는 높이 10m 내외이고 환경에 따라 색이 다르며 황색 바탕에 흑색 반점이 있다. 꽃은 6~7월에 원추꽃차례로 피며 많은 작은꽃이삭이 촘촘히 달린다. 약 60년 주기로 개화, 결실 후 죽는다. 죽세공재와 지팡이로 쓰이고 관상용이다.
관암죽(P. comprossa)은 가지의 첫마디가 편편하게 눌려져 있고 초상엽에 잔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원추꽃차례로서 작은꽃이삭이 여러 개 달린다. 왕대(P. bambusoides)는 높이 10~30m, 지름 5~13cm이나 추운 지방에서는 높이 3m, 지름 1cm밖에 자라지 못한다. 죽순은 식용 ·약용하고 건축 ·죽세공재로 사용한다. 중국 원산이다.
⑵ 해장죽속(Arundinaria) : 잎집이 오랫동안 떨어지지 않고 눈은 각 마디에 가지가 3개 이상 나오며 높이 0.5~7m, 지름 2~30mm로서 중형이고 수술은 3개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의 온대 지역에 150여 종이 분포하고 한국에는 중부와 남부에 해장죽 1종이 자란다.
해장죽(A. simonii)은 높이 6~7m, 지름 1~3cm로서 마디가 긴 편이며, 처음에 덮여 있던 흰분은 점차 없어지고 녹색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원추꽃차례로서 작은꽃이삭에 5~14개가 달리고 꽃자루에 털이 있다. 죽순은 식용하고 부채와 낚싯대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
⑶ 조릿대속(Sasa) : 잎집에는 부드럽거나 딱딱하고 긴 털이 있으며 꽃이삭의 자루가 길고 수술은 3개 또는 6개, 높이 0.3~5m, 지름 2~15mm로서 소형이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 200여 종이 분포하고, 한국에는 충청북도와 평안북도를 제외한 전역에 고려조릿대 ·섬조릿대 ·제주조릿대 ·조릿대 ·갓대 ·섬대의 6종류가 자란다.
고려조릿대(S. coreana)는 한국 특산종으로 뿌리줄기는 짧고 엉켜서 벋으며 마디 사이가 짧으면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섬조릿대와 비슷하나 잎이 보다 작고 가지가 많이 나는 것이 다르다. 잎은 약용에 쓰이고 관상용이다.
섬조릿대(S. kurilensis)는 높이 2~5m, 지름 4~6mm이고 줄기와 포에 털이 없다. 꽃은 5~6년마다 봄에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로 피고 3~4년생 곁가지에 달린다. 죽순은 식용한다.
제주조릿대(S. quelpaertensis)는 한국 특산종으로 줄기는 높이 10~80cm, 지름 3~4mm로서 모여나고 마디가 도드라지며 털이 없고 녹색인데 마디 주위는 약간 자주색이다. 열매는 식용하고 관상용이다.
조릿대(S. borealis)는 높이 1~2m, 지름 3~6mm이다. 꽃은 4월에 복총상꽃차례로 피고 작은꽃이삭에는 2~5개의 자주색 꽃이 달리며 밑부분에 2개의 포가 있다. 열매는 식용하고 잎은 약용에 쓰이며 줄기는 조리를 만든다.
갓대(S. borealis var. chiisanensis)는 한국 특산종으로 줄기는 높이 1~3m로서 처음에 털이 있다가 없어지고 중간 윗부분에서 2~3개로 갈라진다. 마디 사이의 윗부분이 털과 흰가루로 덮이고 잎집은 밑부분에만 잔털이 있다. 조릿대와 비슷하나 외영 끝이 까락처럼 되는 것이 다르다. 조리를 만드는 데 쓰인다.
섬대(S. borealis var. gracilis)는 기주조릿대라고도 한다. 줄기는 높이 20~60cm, 지름 2~3mm이며 흰가루로 덮여 있다가 없어지고 자주색을 띤다. 꽃은 총상꽃차례로서 길이 1~2cm인 작은꽃이삭에 3~6개의 자주색 꽃이 달리고 기부에 있는 2개의 포는 자주색이면서 털이 있다. 잎은 약용으로 쓰인다.
⑷ 이대속(Pseudosasa) : 남부의 산기슭이나 평지에 군생하며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2년째에는 각 마디마다 1개씩 가지가 나온다. 땅속줄기의 끝에서 거친 털이 난 껍질에 싸여 새순이 나온다. 껍질은 마디 사이보다 길다. 잎은 길이 약 30cm이며 혁질이다. 늦은봄에서 여름에 개화하며 재식종은 부분개화를 한다. 이대 ·자주이대 2종류가 있다.
이대(P. japonica)는 높이 2~5m, 지름 5~15mm로서 털이 없으며 중간 윗부분에서 5~6개의 가지가 나온다. 죽순은 식용하고 줄기는 낚싯대 ·부채 ·발 ·화살 ·담뱃대 및 죽세공재로 사용한다.
자주이대(P. japonica var. purpurascens)는 이대의 변종으로 줄기는 높이 1~3m, 지름 5~8mm로서 자주색을 띤다. 꽃은 원추꽃차례로서 여름에 피고 작은꽃이삭에 10여 개의 꽃이 달린다. 죽순은 식용하고 줄기는 죽세공재로 사용한다.
조릿대의 효능
조릿대를 그냥 그늘에 말려서 끓여 먹으면 은 몸에 맞지 않는 분들이 더 많습니다
조릿대의 잎, 줄기, 뿌리 모두 약효능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조릿대의 약 효능은 새순, 새잎,70% 줄기20% 뿌리10% 정도로 들어있다고
보면 은 됩니다,
조릿대의 새순은 고개 숙인 남자들을 고개를 들게 할 정도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기력을 높여주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준다고 하니 우리 몸 어딘들 안 좋겠습니까?
그러나 아무리 좋은 약도 알고 먹어야 약이 될 것 같습니다
1)조릿대는 차를 만드는 덖음 건조 과정을 거치면 은 냉한 성분이 온화한 성분으로
바꿔집니다,
2)조릿대는 그늘에 말려서는 안전한 건조가 되지 않습니다,
(완전 건조가 되지 않은 조릿대는 빨리 변질되며 입자가 아주 작은 곰팡이가 생깁니다)
3)조릿대 잎 또는 조릿대 차를 냉장고나 냉동고에 보관을 하면은 탈취(흡수) 역할을 하므로 모든 냄새를 다 흡수해서 가지고 있습니다.(절대 냉동냉장 하면은 안 됩니다,)
4)조릿대 차는 전문가의 제다 방법에 의해서 제다된 차를 음용하는 것이 좋으며
몸이 냉한 사람은 따뜻하게 몸이 뜨거운 사람은 냉차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5)조릿대 차는 아무리 많이 음용을 하여도 몸에 부담을 주지 않으니 물처럼 마셔도
좋습니다.
6)우리나라에도 조릿대의 종류가 많습니다, 약8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그중에서 제주조릿대 제주도 한라산에서 자생하는 조릿대가 제일 좋다고 합니다,
'건강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라산 조릿대 ‥ 식품원료 사용 가능 (0) | 2009.07.25 |
---|---|
[산야초]고혈압 암 당뇨 홧병 다스리는 조릿대 (0) | 2009.07.25 |
머리숱이 줄어들면 건강 이상을 살펴라 (0) | 2009.07.23 |
아줌마의 체질별 다이어트법 (0) | 2009.07.23 |
다이어트에 좋은 ‘의외의 음식’ 8가지 (0) | 2009.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