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Pteria(Magnavicula) Penguin
pteria는 새의 날개(翼)를 의미한다.
따라서 펭귄이 날개를 펼친 모양을 한 조개
분포상황: 동남아시아, 멜라네시아의 파라오제도, 인도양의 몰디브제도등 열대 및 아열대연안
마베진주 양식지: 일본, 인도네시아, 타이, 필리핀 등
진주의 형조: 반형(반원)진주, 쓰리오브쿼터(3/4)진주
조개의 수명 : 약 10~20년
사진1. 마베조개
사진2. 형태별 마베진주
펭귄이 날개를 펼친 모양을 한 조개에서 생산되는 진주(해수산)는 대부분이 반형의 형태로 생산된다. 이러한 진주를 우리는 마베진주라고 부른다.
사진3. 마베진주(반형)
마베진주의 역사 및 양식
마베진주는 1908년 일본의 엄미대도(奄美大島)의 유정소도(油井小島)에서 양식이 시작되었다.
‘마베’라는 단어는 일본의 오끼나와섬지역의 고어(古語)로서 어부들이 이 조개를 발견했을 때 ‘마비’ 또는 ‘마베’라고 불렀던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형의 진주가 양식되어지는 곳은 조개의 생식소에 외투막세포의 한조각(일명 피스라고 함)을 넣어 양식하지만(아코야진주, 남양진주, 흑진주 등이 여기에 속한다) 마베진주는 생식소에 핵을 넣지 않고 패각에 양질의 프라스틱 또는 수지종류로 만든 반형의 핵을 만들어 패각에 고정시켜 양식한다.
양식되는 그 어떠한 진주보다도 진주층 한층 한층의 두께가 얇아, 광택면에서는 양식진주 중 최상의 광택을 자랑한다.
그러나 마베조개는 수심이 깊은 곳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생리학적으로 내부조직 상태가 매우 근육질이어서 원형의 진주를 생식소에서 양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핵을 패각에 붙여 반형 또는 쓰리오브쿼터(3/4)진주만이 생산되는 것이다.
마베진주의 가공
사진4. 마베진주가 만들어지는 과정
패각에 붙어 양식된 진주(사진5)를 동그랗게 도려내어 (모자의 모양, 사진6) 가공한다.
도려낸 마베진주에서 캡모양의 진주층만을 남겨놓고 핵과 패각을 떼어낸후, 빈 공간에 실리콘 및 투명수지 등으로 내부를 충전시킨다.
충전시킨 후 뒷부분에 백접패 등의 조개를 깎아 붙여 반형만을 남겨놓고 깎아낸 후, 마베진주를 완성시킨다.
사진5. 마베조개와 마베진주
사진6. 가공하기 위해 도려낸 마베진주
일반적으로 마베진주(반형)와 반형진주(백접패-반형의 남양진주, 흑접패-반형의 흑진주, 전복패-반형의 전복진주 등에서 생산)를 구분하지 않고 반형의 형태를 한 진주 모두를 마베진주라고 부르는데, 엄밀히 말하자면 차이가 있기 때문에 혼동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마베조개를 모패로 하여 양식된 마베반형진주만을 마베진주(반형)로 진주감별서에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
.
국내에서 과거에 한동안 유행을 하였던 진주였지만, 최근에는 형태가 반형이므로 디자인의 한계 및 유행 등에 밀려 눈에 띄게 소비가 줄어들었다.
그러나 마베진주만이 갖는 독특한 광택은 다른 원형의 진주와는 비교할 수 없는 개성 있는 아름다움이다
사진7.백접패(반형진주).
남양진주가 생산되는 백접패에서도 반형의 진주가 생산되기도 한다.
'진주의 종류 및 진주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조색진주 (0) | 2007.05.10 |
---|---|
멀티컬러 진주목걸이 (0) | 2007.05.10 |
천연양식진주와 모조진주 감별법 (0) | 2007.05.10 |
[스크랩] 우리나라는 남양진주를 생산하지 못하는가? (0) | 2007.05.09 |
천연 콩크 펄 (0) | 2007.05.09 |